AI부터 뮤지컬까지 생명존중의 확산…14곳 선정된 민관 자살예방사업

복지부·생명존중재단, 2025년 자살예방 협력 사업 대폭 확대

문화예술·기술 접목한 ‘맞춤형 생명존중’ 프로젝트 확산

보건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은 2025년 민·관 협력 자살예방사업 수행기관으로 50개 기관 중 14개를 최종 선정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문화예술, AI기술, 맞춤형 상담 등 다양한 영역에서 자살예방을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시도한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뮤지컬과 예술치유, 마음을 어루만지는 생명존중

이번에 선정된 대표적 문화예술 사업으로는, 자살 위기를 겪은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희망을 노래하는 뮤지컬 메리골드가 있다(극단 비유). 또 자살로 가족을 잃은 이들의 심리적 회복과 애도권 회복을 위해 예술이 협업하는 자살사별자 애도 예술치유 프로젝트도 주목받았다(한국심리학회).

고위험군 맞춤형 상담… 익명성·연결성 강화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1:1 익명 상담 플랫폼을 운영하는 ‘사단법인 우리온’의 사업과, 자살 유족을 위한 정서적 돌봄 사업(라이프호프)도 포함됐다. 두 사업 모두 취약 계층의 심리 회복을 돕기 위한 맞춤형 접근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AI 챗봇으로 응급실 자살시도자 상담까지

삼성서울병원은 자살 시도자에게 응급실 퇴원 후 자가 정신건강 평가와 챗봇 상담을 제공하는 AI 기반 자살예방 개입 모델을 도입한다. 기존의 대면상담 외에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사례 관리의 확산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다.

생명존중
사업 추진 체계

민·관의 창의적 연대가 자살예방의 열쇠

이상원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자살예방은 범사회적 대응이 필요한 문제”라며 “민·관이 함께 창의적 해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황태연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이사장도 “민간의 자율성과 현장성,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이 함께할 때 생명존중사회로 나아갈 수 있다”고 전했다.

© 원문 저작권: 보건복지부 / 편집 및 재구성: 브릿지타임즈 | 본 기사는 공정 사용 원칙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저작권자(c) 브릿지타임즈,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자살예방 #생명존중 #문화예술치유 #AI챗봇상담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